SKT, 서울시 자율주행차 운행 도로 확대…5G 지능형 교통 시스템 실증

김형규 / 기사승인 : 2022-06-27 11:52:57
  • -
  • +
  • 인쇄
자율주행차 전용 차고지‧주차면 등 제공

SK텔레콤은 차량‧보행자와 교통 인프라 등을 5G로 연결하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 ‘C-ITS’ 실증사업으로 진행된 서울 상암 지역 자율주행차 시범 운행지구 확대 구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사업 완료로 상암 일대 자율주행차 운행이 가능한 도로는 기존 상업‧주거 지역에서 월드컵 경기장을 비롯해 난지한강공원‧하늘공원 등 주변까지 대폭 확대된다.
 

▲ ‘서울 미래 모빌리티 센터’ 관제실에서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된 상암 자율주행 시범운영지구의 관제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제공]

 

확대된 도로에는 자율주행차량 운행 가능 지역임을 알려주는 노면 표시와 안내 표지판 등이 설치돼 해당 지역을 다니는 일반 차량 운전자‧보행자들도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했다.

SKT는 이번 시범 운행지구 확대와 더불어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CT) 기술 기반으로 자율주행차의 안전 운행 수준을 한층 강화하는 진보된 C-ITS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상암 자율주행 시범 운영지구를 3D로 구현했다. 이를 ‘서울 미래 모빌리티 센터’에 있는 자율주행 관제 시스템과 연동해 여러 대의 차량 및 신호 정보, 위험 알림 등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제할 수 있도록 구축했다.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된 상암 시범 운영지구는 자율주행 시뮬레이터로도 활용된다.

이와 함께 상암 지역 총 24개 도로 32.3㎞에 달하는 구간에 신호제어기와 불법주정차 카메라, 어린이보호구역 감지 카메라 등 인프라를 대폭 확충했다. 이를 기반으로 어린이보호구역 진입 및 보행자 알림, 돌발상황 CCTV 영상 제공 등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는 서비스도 추가 제공한다.

시범 운영지구를 운행하는 자율주행차는 서울시가 제공하는 V2X(차량사물통신) 단말기를 장착해 SKT의 안전 운행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지난해 11월부터 서울시가 운영하는 자율주행자동차 유상운송서비스를 위해 ▲자율주행차 전용 차고지‧주차면 제공 ▲자율주행차 정류소 내 실시간 위치 정보 전광판 설치 등도 지원한다.

신용식 SKT 커넥트인프라CO담당은 “이번 시범운영지구 확대 구축이 5G 기반 C-ITS 서비스가 한 단계 더 진보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최고 수준의 5G 기술을 통해 자율주행 시대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