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금융당국 외압, 노사관계 영향 미쳐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은행권 노사 임금단체협상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은 가운데 희망퇴직금과 성과급 모두 줄어들고 임금인상률 역시 2%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31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희망퇴직 조건이 지난해보다 모두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KB국민은행은 지난 29일부터 내년 1월3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데 대상은 1972년생이전 출생자다.
![]() |
▲은행권 노사 임금단체협상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은 가운데 희망퇴직금과 성과급 모두 줄어들고 임금인상률 역시 2%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서울시내 전경 [사진=연합뉴스] |
특별퇴직금은 근무 기간별로 최소 월급여 18개월에서 31개월까지 지급하는데 작년 특별퇴직금이 23∼35개월이던데 비해 4∼5개월치 월급만큼 줄어든 것이다.
우리은행 역시 지난 29일부터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데 특별퇴직금은 1968년생 월평균 임금 24개월치, 1969년이후 출생자부터 31개월치다. 지난해 희망퇴직에서 1967년생에게 24개월치, 1968년이후 출생자는 36개월치를 지급한 것에 비해 특별퇴직금이 많게는 5개월치 줄었다.
하나은행은 지난 28일부터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는데 지난해 최대 36개월치에서 31개월 치로 희망퇴직금을 4개월 급여분 줄여서 지급한다. 앞서 신한은행은 지난 15일부터 20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는데 특별퇴직금을 지난해 최대 36개월치에서 31개월치로 5개월 급여분 줄였다.
NH농협은행의 경우 지난달 21일부터 23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372명의 퇴직이 확정됐는데 특별퇴직금으로 만 56세 직원에게 28개월치, 일반직원에게 20개월치를 지급한다. 지난해 만 56세 28개월치, 일반직원 20∼39개월치에 비해 특별퇴직금이 줄어든 것은 마찬가지다.
이들 주요 은행들의 희망퇴직은 2024년 1월 안으로 모두 마무리될 예정이다. 지난 1월 희망퇴직으로 은행을 떠난 이들은 KB국민은행 713명을 비롯해 신한은행 388명, 하나은행 279명, 우리은행 349명, NH농협은행 493명 등이다.
은행들이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금융당국 등 외부에서 거세진 압력 때문에 희망퇴직 조건을 악화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기조는 내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실제로 KB국민·하나·우리은행에서 임단협이 끝나지 않았으나 노사는 임금인상률과 성과급을 축소하는 분위기다. 이미 산별노조와 협의로 작년 3%였던 은행 임금인상률은 2%로 결정됐다.
일찌감치 임단협을 마무리한 NH농협은행은 성과급을 통상임금의 200%에 300만원으로 확정했는데 지난해 통상임금 400%에 200만원에 비해 성과급이 대거 줄어들었다. 신한은행의 경우 지난해 성과급이 현금 300%·우리사주 61% 등 기본급의 361%였던 것에 비해 이번에는 현금 230%·우리사주 51% 등 기본급의 281%로 축소됐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