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펜션서 안전사고 年 200건 이상"...공정위, 숙박시설 안전주의보 발령

이석호 / 기사승인 : 2022-03-21 14:04:31
  • -
  • +
  • 인쇄
10대 미만이 36.5% '최다'...'석재 또는 타일 바닥재' 미끄럼 가장 많아

코로나19 장기화로 해외여행 대신 국내 여행을 택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국내 숙박시설 내 안전사고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끄럼 방지용 제품, 침대 펜스 등 안전장치가 갖춰지지 않은 숙박시설에서 어린이·고령자 등 안전 취약계층 사고 발생 시 큰 부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 공정거래위원회 [사진=연합뉴스]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21일 호텔·펜션 등 숙박시설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숙박시설 관련 안전사고는 총 772건으로 2019년 318건, 2020년 227건, 2021년 227건 등 매년 200건 이상 발생했다.

연령대별로는 10세 미만의 안전사고가 282건(36.5%)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대 107건(13.9%), 30대 106건(13.7%)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10대 미만 사고를 분석한 결과, 미취학 아동(0~6세)의 사고가 88%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이중 71.8%가 '미끄러짐·넘어짐', '추락'으로 발생했다.

발생 장소별로는 '호텔'이 292건(37.8%)으로 가장 많았고, '펜션' 144건(18.7%), '휴양시설' 85건(11%) 등 순이었다.

▲ 자료=공정거래위원회


전 연령에서 품목 기준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건은 '석재 또는 타일 바닥재'에서 미끌어지는 사고로 조사됐다. 30대 이상에서는 다발 품목 1위에 올랐다.

'석재 또는 타일 바닥재' 사고의 경우 94.4%가 '화장실·욕실'에서 발생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0세 미만에서는 '침대'가 53건(18.8%)으로 가장 많았고, '석재 또는 타일 바닥재'가 24건(8.5%)으로 다음 순이었다.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석재 또는 타일 바닥재'가 18건(31.6%)으로 가장 많았고, '침대'가 5건(8.7%)으로 집계됐다.

10대와 30대의 위해다발품목 중 수영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는 총 33건으로, '미끄러짐·넘어짐'이 11건(33.3%), 다이빙 등으로 인한 '추락'이 9건(27.3%)이었다.

또 익수 사고도 2건 접수됐는데, 모두 미취학 아동에게 발생한 사고다. 안전요원이 없는 숙박시설 내 수영장의 경우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 자료=공정거래위원회


안전사고 위해 원인으로는 '물리적 충격'이 474건(61.4%)으로 가장 많았고, '제품 관련' 125건(16.2%), '식품 및 이물질' 91건(11.8%) 등이었다.

물리적 충격에 따른 사고는 주로 침실(137건)과 화장실·욕실(125건)에서 발생했다.

'화재·발연·과열·가스' 관련 사건(54건, 7.0%)은 뜨거운 고온 물질로 발생한 것이 55.6%(30건)으로 가장 많았다.

위해 증상으로는 '피부 및 피하조직 손상'이 343건(44.4%)으로 가장 많았고, '뇌진탕 및 타박상' 117건(15.2%), '근육, 뼈 및 인대 손상' 96건(12.4%) 등 순이었다.

위해 부위는 '머리 및 얼굴'이 326건(42.2%), '둔부, 다리 및 발' 151건(19.6%), '팔 및 손' 119건(15.4%) 등으로 나타났다.

공정위 관계자는 "봄철을 맞아 가족여행, 나들이 등으로 숙박시설 이용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호텔·펜션 등 숙박시설 내 침실, 수영장, 바비큐장 등 여러 장소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손명수 의원 “승객 안전 위해 철도 궤도 개량·기술 개발 서둘러야”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시속 300km로 달리는 고속열차에 철도 바닥의 자갈이 튀어 유리창이 깨지는 사고가 해마다 100건 안팎으로 발생하면서, 열차 지연과 막대한 유지보수 비용 지출은 물론, 승객 안전에도 위협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손명수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용인시을)이 한국철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

NC소프트, 블레이드 & 소울 NEO 업데이트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엔씨소프트는(이하, NC소프트) 블레이드 & 소울 NEO(이하, BNS NEO’가 서비스 1주년 기념 ‘All in 1’ 업데이트를 22일 진행했다고 밝혔다. BNS NEO는 IP 최초로 12인 레이드 ‘검은 마천루’를 선보인다. 검은 마천루는 최고 난도의 레이드로 영웅 등급 이상의 보상을 제공한다. 이용자는 레이드 도전을

3

컴투스, 더 스타라이트 신규 PvP 던전 ‘투사의 전당’ 추가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컴투스는 ‘더 스타라이트’에 신규 던전 ‘투사의 전당’을 업데이트했다고 22일 밝혔다. 새로 추가된 던전 ‘투사의 전당’은 여러 차원의 전사들이 모여 최고의 투사를 가리던 고대 투기장으로, 중·고레벨 유저들이 한데 모여 충돌이 적용된 실시간 전투를 펼치는 PvP 중심의 던전이다. 또 다른 PvP 던전인 ‘별의 낙원’ 진입 전, 모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