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면플레이션" 칼국수, 올해 외식 메뉴 인상 '톱' 달성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3 09:54:16
  • -
  • +
  • 인쇄
칼국수, 10년간 50% 인상 '면플레이션' 현실화
밀가루 가격, 러-우 전쟁 이후 130선 고착

[메가경제=정호 기자] '면플레이션'이 대두되는 가운데 칼국수가 올해 외식 품목 가운데 가장 큰 인상 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서울 기준 선호 외식 메뉴 8종의 평균 가격은 지난해 12월보다 3.44% 올랐다. 이 가운데 칼국수는 평균 9385원에서 9846원으로 4.91% 상승해 품목별 인상률 1위를 차지했다. 2015년 6545원과 비교하면 10년 사이 50% 넘게 오른 수준이다.

 

▲ <사진=연합뉴스>

 

칼국수 가격은 평균적으로 1만원에 근접한 데다 인기 식당의 경우 이미 1만원을 넘긴 곳도 적지 않다. 밀가루 가격 역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고점을 유지하고 있다. 밀가루 가격 지수는 2023년 12월 137.43, 지난해 12월 137.59, 지난달 135.33으로 꾸준히 130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전쟁 이전인 2021년 12월에는 108.47 수준이었다.

 

칼국수 다음으로 가격 상승 폭이 컸던 품목은 삼계탕이다. 삼계탕은 지난해 12월 1만7269원에서 지난달 1만8000원으로 4.23% 올랐다. 2022년 1만5000원을 넘은 뒤 이듬해 1만6000원 선에 진입했고 올해는 1만8000원대를 돌파했다. 일부 전문점에서는 이미 1그릇 2만원을 받고 있다.

 

기타 외식 메뉴 가격 상승률은 ▲김밥 3646원(4.17%↑) ▲김치찌개 백반 8577원(3.72%↑) ▲냉면 1만2423원(3.53%↑) ▲비빔밥 1만1577원(3.44%↑) ▲자장면 7654원(3.11%↑) 등으로 조사됐다.

 

한편 삼겹살(1인분·200g)은 지난해 2만282원으로 2만원선을 돌파한 데 이어 지난달 2만673원을 기록해 상승폭이 1.93%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외식 물가 상승의 원인으로 인건비, 임대료, 에너지 비용 등 복합적 요인을 지목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칼국수나 삼계탕은 면 반죽, 제면, 재료 손질 등 수작업 비중이 높다"며 "원재료 값뿐 아니라 인건비 상승도 가격 인상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쿠팡 로켓그로스, 소상공인 매출 '껑충'
[메가경제=정호 기자] 쿠팡의 로켓그로스가 소상공인·1인 판매자에게 없어서는 안 될 ‘성장 파트너’로 자리 잡았다. 포장·배송·반품·고객응대 등 운영 전반을 쿠팡이 전담 지원해 판매자는 제품 개발과 품질 관리 등 본업에만 집중할 수 있다. 이 구조가 매출 성장으로 연결된 사례가 속속 등장하며 로켓그로스가 소상공인 성장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3일 쿠

2

CJ대한통운, 리얼월드와 협업…물류 AI 로봇 기술 개발 나서
[메가경제=정호 기자] CJ대한통운이 리얼월드와 손잡고 휴머노이드 로봇을 사람처럼 움직이게 만드는 ‘두뇌’ 기술 개발에 나선다. 로봇 하드웨어 기업들과의 협업에 이어 AI 솔루션까지 영역을 확장하며, AI 휴머노이드 기반 물류 혁신을 본격화하기 위한 ‘물류 AI 얼라이언스(AI Alliance)’를 한층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23일 CJ대한통운에 따르면

3

제네시스, 美 유력 매체 '2026년 최고 럭셔리 자동차 브랜드' 선정
[메가경제=정호 기자] 제네시스가 미국 유력 매체 ‘US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U.S. News & World Report)’로부터 ‘2026년 최고의 럭셔리 자동차 브랜드’로 선정됐다. 23일 제네시스에 따르면 US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는 20일(현지시간) ‘2026년 베스트 차량 브랜드 어워즈(2026 Best Vehicle Brand Awa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