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시가총액 ‘1조 클럽’ 11곳 늘어...상장사 10곳 중 6곳 시총 ↑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4-12 16:17:55
  • -
  • +
  • 인쇄
상장사 10곳 중 6곳 1분기 내 시총 증가
네이버, 시총 증가액 1위...13조 8천억 늘어

올해 1분기 국내 주식시장에서 시가총액 1조 원 이상 기업이 전분기 대비 11곳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CXO연구소(소장 오일선)가 12일 발표한 ‘2021년 1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 증시 시가총액은 83조 원 넘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종목은 우선주를 제외한 2385곳이고, 올 초(1월 4일)와 3월 말(31일) 시가총액과 주가 변동 현황 등을 비교한 수치다.

 

▲ 출처=한국CXO연구소

 


국내 상장사 2400여 곳의 지난 3월 말 기준 시총은 2411조 2178억 원으로 올해 초 2327조 3517억 원보다 3.6%(83조 6661억 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 대상 주식종목 중 1분기에 시총이 증가한 기업은 1431곳으로 60%에 달했다. 1분기에 상장사 10곳 중 6곳 꼴로 시총이 증가한 셈이다.

시총 ‘1조 클럽’ 기업 수도 올해 1월 초 231곳에서 3월 말 242곳으로 11곳이 늘어났다. 1분기 시총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네이버로 나타났다.

네이버는 올 초 48조 1291억 원이던 시총이 3월 말에 61조 9272억 원에 달해 1분기에만 13조 7981억 원 이상 증가했다. 1분기 시총 증가율로 28.7%을 기록한 것이다. 네이버 주가는 올 1월 4일 종가 기준 29만 3000원에서 3월 31일 37만 7000원으로 껑충 뛰었다.

네이버 뒤를 이어 카카오(9조 1749억 원), 기아(7조 6613억 원), KB금융(5조 7173억 원) 등이 3개월 새 시총이 5조 원 이상 증가했다. 이외에도 포스코케미칼, SK하이닉스, 대한항공, HMM, 포스코 등 기업들의 시총이 4조 원 넘게 올랐다.

 

▲ 출처=한국CXO연구소


반면에 삼성전자 시총은 연초 495조 4919억 원에서 3월 말 485조 9402억 원으로 9조 5516억 원 가량 줄었다. 이외에 LG화학(5조 9297억 원), 삼성바이오로직스(5조 3593억 원), SK바이오팜(4조 331억 원), 삼성물산(3조 6442억 원) 셀트리온(3조 952억 원) 등 기업들의 시총이 1분기에 3조 원 이상 감소했다.

1분기 시총 100위권 내 기업 중 순위가 가장 크게 오른 곳은 건설기계 장비업체 ‘두산밥캣’이다. 이 회사는 지난 1월 초만 해도 시총 100위권 밖에 있다가 3월 말 70위에 오르며 시총 100위 내에 진입했다. 두산밥캣의 3월 말 시총은 4조 2204억 원으로 연초보다 32.2%(1조 2731억 원) 증가했다.

이외에도 한국항공우주, 일진머티리얼즈, 롯데쇼핑, 메리츠증권, 팬오션, DB손해보험, 한국가스공사 등이 시총 100위 내에 이름을 올렸다.

이에 반해 에이치엘비, 알테오젠, 대웅, SK케미칼, 제넥신, 케이엠더블유, 더존비즈온, 에스원 등 기업들은 1분기 시총 100위권에서 벗어났다.
 

▲ 출처=한국CXO연구소



특히, 지난 1분기에는 제약·바이오 업체들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씨젠(62위→87위), 신풍제약(45위→67위), 녹십자(50위→71위), 한미사이언스(57위→76위), SK바이오팜(28위→44위), 셀트리온제약(38위→54위), 유한양행(54위→68위) 등 기업들의 주가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올 초 시총 10위권 내에 있던 기업들 중 현대모비스(10위→12위), LG화학(3위→4위), 삼성바이오로직스(4위→5위), 셀트리온(6위→9위) 등은 순위가 내려앉았다. 기아(12위→10위), 현대차(8위→6위), 카카오(9위→8위) 등 3곳은 1분기에 시총 순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3월 말 기준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곳 가운데 주가 상승으로 시총이 가장 크게 오른 곳은 중견 게임업체 데브시스터즈다. 올해 1분기 시총은 1669억 원에서 1조 2908억 원으로 673% 증가했다.

 

▲ [사진= 연합뉴스]


효성티앤씨(169%), 효성첨단소재(152%), 나노스(106.9%) 등은 시총이 배 이상 늘었다. 이외에 HMM(82.7%), 메리츠금융지주(77.7%), 금호석유(75.5%), 오스템임플란트(68.3%), 포스코케미칼(66.8%), 현대건설기계(63.8%) 등 회사들이 1분기 내 높은 시총 증가율을 보였다.

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올 1분기 주식시장은 화학(Chemical), 건설(Construction), 해운·항공 등 운송(Transportation), 게임(Virtual) 관련 업체 등을 아우르는 ‘C·C·T·V’ 종목들이 1분기에 시총이 약진한 반면 바이오(Bio)와 배터리(Battery)를 포함한 ‘B2’ 종목은 상대적으로 약세인 곳이 많아 대조를 보였다”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영섭 KT 대표 "전 고객 대상 무료 유심 교체 보상 진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KT가 전체 가입자 대상 무단 소액결제 및 불법 소형 기지국(펨토셀) 접속 사고 보상을 위해 전체 가입자 대상으로 무료 유심 교체를 진행한다. 김영섭 KT 대표는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종합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전 고객 대상 유심을 교체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qu

2

NS홈쇼핑,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 참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NS홈쇼핑이 오는 11월 1일(토)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푸드위크코리아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에 참가해 협력사를 위한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고 29일 밝혔다. ‘서울국제식품산업전’은 농림축산식품부, 한국식품연구원, 한국농업기술진흥원,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 서울시, 강남구 등이 후원하고 코엑스가 주최하는

3

김상현 롯데쇼핑 부회장 "디지털 전환은 고객 경험 혁신 도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김상현 롯데그룹 유통 총괄대표 부회장은 29일 “디지털 전환은 기술이 아니라 고객 경험을 새롭게 설계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김 부회장은 29일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디지털 전환과 전자상거래 효율화’ 세션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아시아 소비자들이 국경을 넘어 다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