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찬오 노무사의 진폐산재이야기]⑪ 광업종사자의 근골격계질환 판단 지침

전찬오 / 기사승인 : 2022-07-31 14:17:08
  • -
  • +
  • 인쇄

이번 시간에는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근골격계 질환이란 특정 신체부위에 부담을 주는 업무로, 그 업무와 관련이 있는 근육, 인대, 힘줄, 추간판, 연골, 뼈 또는 이와 관련된 신경 및 혈관에 미세한 손상이 누적되어 통증이나 기능저하가 초래되는 급성 또는 만성질환을 말한다.

 

▲ [사진=픽사베이 제공]

이러한 근골격계 질환은 크게 팔, 다리, 허리로 분류가 된다.

팔 부분은 목, 어깨, 등, 위팔, 아래팔, 팔꿈치, 손목, 손 및 손가락의 부위를 말하며, 대표적인 질병으로는 회전근개건염, 터널증후군 등이 있다.

다리 부분은 둔부, 대퇴부, 무릎, 다리, 발목, 발 및 발가락의 부위를 말하며, 대표적인 질병으로는 반월상 연골손상, 슬개대퇴부 통증증후군, 발바닥의 근막염 등이 있다.

허리 부분은 요추 및 주변 조직을 말하며 대표적인 질병으로는 요부염좌, 요추간판탈출증이 있다.

근골격계질환은 업무상 사고로 볼 것인지, 업무상 질병으로 볼 것인지 판단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이에 대한 근로복지공단 지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업무수행 중 사고로 인한 근골격계 질병의 발병의 경우 신체에 가해진 외력의 정도와 그에 따른 신체 손상이 직업력과 관계없이 사고로 발생한 것으로 의학적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업무상 사고의 판정절차가 적용된다.

2. 신체부담업무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의 발병의 경우 업무상 질병 판정절차가 적용됩니다.

3. 퇴행성 변화와 사고가 동반되어 발생한 근골격계질환의 경우 신체부담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업무상 사고 판정절차가 적용되며 신체부담업무가 있는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 판정절차에 따라 판정하게 된다.

두 가지 경우를 구분하게 되는 신체부담업무란 다음과 같다.

①업무에 종사한 기간과 시간, ②업무의 양과 강도, ③업무수행 자세와 속도, ④업무수행 장소의 구조 등이 근골격계에 부담을 주는 업무를 말한다.

신체부담업무는 신체부담정도, 직업력, 간헐적 작업 유무, 비고정작업 유무, 종사기간, 질병의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한다.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알아보았다.

다음 시간부터는 이러한 근골격계 질환의 세부적인 질병들에 대해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다.


[노무법인 산재 전찬오 노무사]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전찬오
전찬오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2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3

롯데마트, 민들레학교에 친환경 업사이클링 시설물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마트는 지난 5일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구리광장에서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시설물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 김준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본부장, 이양현 구리남양주민들레학교장을 비롯해 구리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달식은 지난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